#퇴원
오늘 퇴원을 했다. 어머니께서 연차를 내고 퇴원을 돕기 위해 서울까지 오셨다.
퇴원하면서 통깁스를 한다고 했는데, 3일 후 내원해서 경과를 보고 진행하기로 했다.
입원 당시 회진이 너무 빨라서 질문이나 궁금증을 정리하지 못했었다.
그래서 오늘 퇴원하는 겸 질문을 정리해서 진료를 봤다.
Q1. 수술방식
A1. 동종진피를(사람과 동일한 조직) 이용해 얇아지고 변형된 부분의 아킬레스건에 덧대어 봉합하는 수술로 진행. 덧댄 부위는 자기조직화 됨.
-참고로 동종진피도 다양한 제품이 존재. 대표적으로 (주)엘앤씨바이오의 megaDerm 제품이 유명한 듯? 근데 정작 나는 어디 제품을 썼는지 모른다. 금욜 내원해서 물어봐야지.
+ 2020/02/07 - 병원을 옮기기전에 진피 브랜드를 물어봤더니 써지케어의 써지멘트를 썻다고 한다. 수술 후 진피에 대해서 많이 알아봤는데, 남성 음경확대 수술에 대해 훨씬 많이 나온다. 검색 중 메가덤과 써지멘트 진피를 비교한 글을 찾았다. 다.http://m.blog.daum.net/ceg1127/150?np_nil_b=2
Q2. 두 달 후(8주) 회사 출근 가능 여부.
A2. 가능은 한데, 보조기 + 목발. 10주 되면 보조기만으로 가능할 것 같다.
Q3. 통깁스 범위.
A3. 수술 후 4주까진 허벅지 위 통깁스. 4주간 허벅지 아래 통깁스. (나의 경우 3주 차에 통깁스를 할 예정이므로 허벅지 위 통깁스 1주일, 허벅지 아래 통깁스 4주가 될 예정)
어제까지만 해도 의사에 대한 신뢰가 굉장히 떨어진 상태였다. 재활이 느린 것과 수술후 상처 부위를 한 번도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 답변을 들으면서 어느 정도 신뢰가 회복된 것 같다.
전통적인 방식만 고집한 줄 알았는데, 트렌드와 자기 경험을 통해 수술방식과 재활기간 정했다는 것이다.
나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정보만을 보고 두 달(8주) 만에 걷기를 원했다. 하지만 여기선 두 달 반(10주) 정도 예상을 한다고 한다.
그렇게 많이 차이 나지도 않을뿐더러, 내가 인터넷으로 배운 얕은 지식만 가지고 섣부른 판단을 한 것이 아닌가 반성해 본다.
그래도 수술 15일 차인데 수술한 이후에 상처 한 번도 안 본 건 좀 오버 아닌가? ㅋㅋㅋ
+ 2020/01/21 - 수술 후 21일차. 통깁스하기전 담당의사가 내 상처를 처음봤다.
#퇴원 후 집에서 운동하려고 푸쉬업바를 샀다.
마이프 푸쉬업바
어떤걸로 할까 고민하다가 튼튼해보이는 마이프 푸쉬업바를 샀다.
사실 어떤 푸쉬업바든 똑같다 바른 자세로 많은 양을 하는게 중요하지 ㅋㅋ
다리를 못쓰는 이시점에 푸쉬업 죽어라해서 상체도 못쓰는게 내 목표다.
매일 운동량을 기록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