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
저는 완전 파열 후 수술한 상태입니다. 다른 분들 기준에 안 맞을 수도 있습니다.
수시로 업그레이드할 예정. (제가 잘못 선택한 것 위주가 될 듯)
크고, 유명한 병원으로 가세요.
의사마다 병원마다 실력, 환경 모두 다릅니다. 그래도 족부로 유명한 병원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저는 수술 시기가 늦어질까 봐 집 근처 병원에서 했습니다. 그 당시 최고의 선택이었고, 다행히 의사 선생님께서 수술 잘 해주셨습니다.
통깁스는 안에 솜으로 감싸고, 그 위에 특수한 붕대를 감아 단단하게 굳히는 것입니다.
이때 안에 재질이 솜이냐 다른 재질이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기본 싼 통깁스는 2-3만 원, 저 같은 경우 12만 원짜리 했습니다.
병원 측에서 뭐 통풍이 더 잘되느니, 뭐라느니.. 이왕 오래 할 거니까 좋은 거로 했습니다. 차이 없으니 그냥 싼 거로 하세요.
저는 개인적으로 싼 통깁스가 더 좋았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통깁스를 해주시는 분들의 차이입니다.
있으면 좋으나 잘 사용하셔야 합니다.
저는 처음에 통깁스 위에 방수커버하고, 방심하고 샤워하다가 안에 커버 안에 물이 차서 통깁스 선풍기로 말렸습니다.
저는 성인용 허벅지까지 오는 거 사용했는데, 대략 2만 원 선에서 사면 좋을듯싶습니다.
인터넷에 사려다가 병원 내원한 김에 간호사가 방수커버 필요할 거라 해서, 얼마냐고 물으니 2만 원쯤 한다 해서 샀습니다.
나중에 영수 증보니 35000원 찍혀있어서 병원에 욕 박으려다가 참았습니다.
바퀴 있는 의자.
최대한 다친 발 안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집안에서 이동할 때 무조건 바퀴 달린 의자나 목발 깨끗이 닦아서 사용했습니다.
한쪽 발로 쿵쿵쿵 이동하는 것도 급할 때나 잠깐은 괜찮지만, 굉장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술이 잘 끝났다면, 이부분이 굉장히 큰부분을 차지하는 것 같네요.
다들 빨리 일상생활, 운동으로 복귀하고 싶은 마음이 클 것입니다.
저도 잘 못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느끼는 부분이 서두르지 말자는 것입니다.
다리가 완벽한 가동범위가 나오지 않았지만 걸어다닐 만해서 걸어다녔습니다.
그런데 제대로 된 자세도 아니며 발뒷꿈치로 걷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오래 걸으면 뒷꿈치가 아프거니와 제대로된 아킬레스건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방법입니다.
그냥 걷는다고 재활이 저절로 되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